<p></p><br /><br />정부가 멧돼지와의 전쟁을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강원도 철원 접경 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어제에 이어 또다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되자. 이제 총기 사냥까지 허용했습니다.<br> <br>빠르게 확산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소식 강경모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하얀 방역복을 입은 군 장병들이 차량 안팎을 꼼꼼히 소독합니다. <br> <br>야생 멧돼지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나왔다는 소식에 한시도 긴장을 놓을 수 없습니다. <br> <br>[강경모 기자] <br>"민통선 인근의 돼지 농장 입구입니다. <br> <br>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멧돼지가 나왔다는 소식에 초소에선 사람과 차량의 통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오늘도 강원도 철원 민통선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 2마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벌써 5마리째입니다. <br> <br>이 지역 멧돼지에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퍼졌을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돼지농장 관계자] <br>"멧돼지 활동 반경이 넓다고 말했는데, 여기서 폐사체가 나올정도면 많이 퍼졌을거라고…" <br> <br>정부는 긴급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><br>접경지역을 4개 관리지역으로 나눠 멧돼지를 관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나온 철원과 연천은 감염위험지역으로 지정해, 이동을 차단하는 철책이 세워지고, 포획 틀과 트랩을 설치해 멧돼지를 잡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감염위험지역 안에 총기 사냥도 허용하는 집중사냥지역도 지정됩니다. <br> <br>당초 멧돼지 이동을 부추긴다는 부작용을 들어 총기 사용을 금지했지만, 바이러스 확산세가 갈수록 빨라지자 입장을 바꾼 겁니다. <br> <br>[김현수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] <br>"집중사냥 지역은 멧돼지 이동저지 방안이 마련되는 대로 총기를 사용한 포획을 바로 시작하겠습니다." <br> <br>경계지역으로 설정된 서울과 인천, 춘천 등에서도 내일부터 멧돼지 집중 포획에 들어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kkm@donga.com <br>영상취재:김민석 <br>영상편집: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