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부터 3일간 서울지하철 1-8호선의 1차 총파업이 예고된 가운데 막판 노사협상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노사가 임금피크제 폐지와 인력 충원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지만, 합의에 난항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상순 기자! <br /> <br />막판 협상이 시작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지하철 1∼8호선을 담당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오늘 오후 3시부터 교통공사 본사에서 본교섭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조의 요구사항은 크게 3가지인데요. <br /> <br />임금피크제 폐지와 안전인력 충원, 4조2교대제 근무형태를 확정해달라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노조는 행정안전부와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와 서울시, 서울교통공사가 대답을 내놓지 않으면 내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1차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파업을 하루 앞둔 막판 협상인데요, 최대 쟁점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장 큰 쟁점사항은 지난 2016년 도입된 임금피크제입니다. <br /> <br />정년 60세를 유지하는 대신 만 58세 직원은 총급여의 10%를, 만 59세는 20%를 감액하는 방식인데요. <br /> <br />노조는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재직기간에 벌 수 있는 임금이 줄어든데다 임금피크제 대상이 아닌 직원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공기업의 임금피크제는 행정안전부의 '운영지침'에 따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노조는 이 지침에 따라 신규채용 인원의 인건비가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생긴 재원에서 충당되고, 부족하면 기존 직원들의 총인건비에서 보충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규채용에 따른 부담을 기존 직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 행정안전부의 운영지침은 지방공기업의 임금피크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협상이 결렬돼서 서울시 지하철이 파업에 돌입하면 여파는 얼마나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교통공사 노조는 막판 노사협상이 결렬될 경우 기관사는 아침 6시반부터, 나머지 분야는 아침 9시부터로 파업 돌입 시점을 잡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파업이 시작되면 지하철 운행률은 1∼4호선은 평일 기준 66%, 휴일은 50% 수준까지 떨어지고요. <br /> <br />5∼8호선은 평일 78%, 휴일 68%의 운행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 서울시는 출근시간대에는 평시 100% 수준으로 지하철 운행률을 유지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출근 시간 이외에는 운행률이 평시 대비 75%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101516042149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