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상황을 둘러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,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다시 낮췄습니다. <br /> <br />2년 만에 역대 최저수준으로 돌아갔는데요. <br /> <br />내년쯤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태현 기자!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낮췄는데, 그럼 금리가 얼마가 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낮췄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에도 전격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했는데요, 이번 조치로 기준금리는 연 1.25%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2016년 6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유지한 역대 최저 금리, 연 1.25%와 같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단기간에 두 차례 기준금리를 낮춘 건 경기 상황이 심각하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이미 올해 경제성장률을 2.2%까지 낮췄는데요. <br /> <br />국제통화기금, IMF가 성장률을 2.6%에서 2%로 크게 낮출 정도로 경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주열 총재도 최근 국정감사에서 2.2% 달성이 어렵다고 시인했고, 민간에서는 1%대 후반을 전망하는 목소리가 큽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저물가도 문제인데요, 최근 사실상 두 달 연속 소비자물가가 역성장하면서 지속적인 물가 하락을 말하는 디플레이션 우려마저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공급 측면과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강변하지만, 소비 부진도 영향을 미쳤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금리 인하로 조금이나마 경기에 활력을 주겠다는 계산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시 금리를 낮추긴 했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연 1.5%라는 충분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써왔기 때문에, 더 낮춘다고 해서 극적인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투자와 고용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을 책임질 기업의 경기 심리가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상황이 이어진다는 점도 걸림돌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우리 경제를 둘러싼 미·중 무역 분쟁과 일본과의 갈등도 단기간에 해결되긴 어려운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이번 금리 인하의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, 이에 따라 한국은행이 경기 회복의 신호를 찾지 못한다면 내년 상반기쯤에 한 차례 더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한국은행에서 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01610145137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