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면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콕 집어 검찰 감찰을 강화하라고 지시했습니다 <br> <br>강력한 자기 정화를 주문하면서, 검찰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서상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사퇴 직전 발표한 검찰 개혁안서 검찰에 대한 법무부의 감찰권 강화를 포함시킨 조국 전 법무부 장관. <br> <br>[조국 / 전 법무부 장관(그제)] <br>"법무부의 직접 감찰 사유를 추가하여 검찰에 대한 1차 감찰권을 확대하는 내용으로…." <br> <br>오늘 법무부 차관과 검찰국장을 면담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법무부와 대검의 감찰 기능 문제를 콕 집어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] <br>"지금까지 보면 대검의 감찰 기능도, 또 법무부의 감찰 기능도 그렇게 크게 실효성 있게 작동되어 왔던 것 같지가 않습니다." <br> <br>검찰권을 견제하는 수단인 감찰 기능 강화 방안을 가지고 오라고 한 겁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] <br>"검찰 내에 어떤 아주 강력한 자기정화 기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저에게 한번 직접 보고를 이렇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오늘 대검 감찰부장에 검사가 아닌 판사 출신 변호사를 임명한 것도 면담에서 지시한 내용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. <br> <br>한동수 신임 대검 감찰부장은 진보 성향 판사 모임인 '우리법 연구회' 출신입니다. <br> <br>검찰의 감찰 기능을 비검찰 출신에게 맡겨 검찰 조직에 긴장을 불어넣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 입니다. <br>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강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