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유시민 이사장이 사과 했지만, KBS 기자들 뿐 아니라 기자협회 전체로 오히려 반발은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"성희롱 발언이 구독자 99만 명의 채널을 통해 생중계로 여과 없이 방영됐다” <br><br>KBS 기자협회는 이같은 성명서를 통해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방송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출연자가 "검사들이 KBS의 모 여기자를 좋아해 술술술 흘렸다”는 말은 귀를 의심케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방송 말미에 "사석에서 많이 하는 얘기"라며 "혹시 불편함을 드렸다면 사과드린다"는 언급은 추잡스럽기까지 하다고 꼬집었습니다. <br><br>KBS 여기자회에서도 별도 성명을 내고 "방송을 보고 있었을 당사자가 그 순간 느꼈을 모멸감을 짐작이냐 하냐"고 성토했습니다. <br><br>고질적 성차별 관념에서 나온 말들이며 그런 표현들을 들으면서 출연자들은 즐겁게 웃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> <br>방송 출연자와 이를 방관한 이들은 사과 그 이상의 책임을 지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한국여기자협회 역시 유 이사장과 해당 출연자는 사과문을 내는 데 그치지 말고 해당 유튜브 방송에서 공식 사과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또 사과만으로 해당 여기자와 여성기자들의 훼손된 명예가 회복될 수는 없다고 유 이사장에게 되물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