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는 최초의 한국영화 가 단성사에서 상영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영화는 한 세기를 거치는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 현주소와 미래를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제강점기였던 1919년 10월 27일. <br /> <br />최초의 한국영화 '의리적 구토'가 단성사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부터 100년, 한국영화는 그야말로 눈부신 발전을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한해 극장을 찾는 관객만 2억천만 명, <br /> <br />1인당 평균 관람 편수는 4.2편으로 연 매출 2조 원대 시장을 훌쩍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올해는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으며 한국 영화사의 한 획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호정 / 서울 묵동 : 한국영화가 많이 발전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자랑스럽고 좀 더 한국영화가 이번 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.] <br /> <br />역대 관객 수 1위는 2014년 7월 개봉한 '명량' 최고기록 1,762만 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'천만 영화'는 모두 26편으로, 올해에만 '천만 영화'가 4편이나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문화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스크린 독과점은 여전히 한국영화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정부가 멀티플렉스에서 한 작품이 스크린의 50% 이상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'스크린 상한제' 도입을 발표했지만 미흡하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[정지욱 / 서경대 교수 : 독립예술영화, 그리고 중소규모의 영화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, 그리고 이 영화들이 확실하게 스크린에 걸릴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만들어주는 (정책이 필요합니다.)] <br /> <br />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다양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도 한국영화의 또 다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유정 / 강남대 교수 : 디즈니 플랫폼의 성공을 보자면 새로운 이야기라기 보다 스토리텔링이라는 굉장히 영화에 기대되는 원초적인 측면에 더 투자를 강화하고 이 부분에서 힘을 발휘하고 있다고 보입니다. 그래서 한국영화의 미래를 본다면 영화의 기본기로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이 들고요.] <br /> <br />결국 영화산업의 100년 미래를 내다본다면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시스템을 확보하고 단조로운 액션과 스릴러 등을 뛰어넘는 창의적인 콘텐츠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[sunny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19102202400672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