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정치권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요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이 협조를 당부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서는 국회가 곧 공청회를 열어 본격 심사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국회로 가보겠습니다. 나연수 기자! <br /> <br />문 대통령이 국회 입장하는 순간부터 맞이하는 분위기가 달랐습니다. 시정연설에 대한 평가도 제각각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문 대통령의 네 번째 국회 시정연설이었는데요, 여당 의원들은 손을 내밀어 환대했지만, 야당, 특히 한국당 의원들은 박수도 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과 보수 야당 간의 미묘한 기싸움이 곳곳에서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과 청년 일자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야유가 나오는가 하면, 공수처법 처리를 당부할 때는 야당 의원들이 손으로 X(엑스) 자를 만들어 항의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문 대통령은 공정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말하면서 시선을 분명하게 한국당 쪽으로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연설이 끝난 뒤, 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혁신과 포용, 공정, 평화 4가지 키워드에 공감한다며 국회가 신속하게 심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국민에게 좌절만 안겨준 연설이었다고 혹평했고, 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 역시 자화자차만 있고 반성은 없는 연설이었다고 냉정한 평가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정의당과 민주평화당은 대통령이 직접 예산의 취지를 설명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, 불평등과 격차,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각 당의 엇갈린 반응, 이제 본격적으로 돌입할 내년도 예산안 심사를 앞둔 기 싸움으로 읽어도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내년도 예산안 공청회가 잠시 후 2시부터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 예산 심사, 몇 가지 포인트를 짚어보면요. <br /> <br />먼저, 사상 처음 500조 원을 돌파한 역대 최대 규모 예산안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대략 513조 5천억 원, 올해보다 9.3% 늘었는데요. <br /> <br />여당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일본의 수출 규제 등 대외 악재를 고려하면 적극적으로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 야당은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둔 선심성 예산을 꼼꼼히 가려내겠다며 돋보기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가장 쟁점이 되는 예산안은 뭘까요. <br /> <br />당장 올해보다 각각 20%, 10% 이상 늘어난 일자리 예산과 남북협력기금이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02213382697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