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 동안 북한은 조건 없이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겠다는 입장이었는데, 갑자기 '남측 시설 철거'라는 극단적인 카드까지 꺼내든 이유 무엇일까요? <br> <br>이어서 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김정은/북한 국무위원장(지난 1월)] <br>"아무런 전제 조건이나 대가 없이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용의가 있습니다." <br> <br>올해 신년사에서 조건 없이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겠다던 김정은 위원장이 '시설 철거'라는 강수를 꺼내들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에 합의해 놓고 우리 정부가 지금까지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불만을 표출한 겁니다. <br> <br>특히 김 위원장은 김정일 시대 대남정책까지 비판하며 남한 의존 탈피를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국력이 여릴 적에 남에게 의존하려 했던 선임자들의 의존정책이 매우 잘못됐다고 심각히 비판하셨습니다." <br> <br>남북경협 없이도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며 근본적인 정책 변화 가능성까지 거론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금강산이 마치 북과 남의 공유물처럼, 북남관계가 발전하지 않으면 금강산 관광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돼 있는데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고." <br> <br>자력갱생 강조를 통해 북한 내부를 결속시키고, 경협에 미온적인 한국 정부를 압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북한의 일방적 선언에 청와대는 "북한 의도에 대한 분석이 더 필요하다"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북한에게 평화 경제에 호응하라고 요청한 바로 다음날 나온 북한 반응에 <br>당황하는 기색도 보였습니다.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