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법원에서 일본 전범 기업을 상대로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한 지 오는 30일이면 꼭 1년이 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일본은 배상은커녕 적반하장 식의 보복까지 이어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대법원 판결 이후 사죄 대신 보복이 가져온 한일 관계 변화를 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김명수 / 대법원장 2018년 10월 : 주문,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. 상고 비용은 피고(신일본제철)가 부담한다.] <br /> <br />1년 전, 일본의 전범 기업이 강제 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우리나라 대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한을 풀게 된 유일한 피해 생존자는 감격의 눈물을 쏟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춘식 /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2018년 10월 : 오늘 나 혼자 나와서 내 마음이 슬프고 눈물이 많이 나고 울고 싶고 마음이 아프고….]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그러나 관련 보상은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모두 끝났다며 격하게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사사건건 노골적으로 반한 정책을 키워온 아베 정부는 적반하장격의 경제보복 조치까지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반성 없는 태도에 분노한 우리 국민은 불매 운동으로 똘똘 뭉쳐 응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인봉 / 전국택배노조 사무처장 (7월 유통업계 불매운동 선언) : 특히 택배 노동자들이 이번에 유니클로 배송 거부를 하면서….] <br /> <br />금방 식을 거라는 조롱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넉 달째인 지금까지 불매 열기와 반 아베 정서는 어느 때보다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지난달 대한 수출 감소 폭은 8월보다도 두 배나 큽니다. <br /> <br />불매가 한층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불매운동 참여율은 65%가 넘어 불매 운동이 시작된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[정현영 / 대학생 : 뉴스를 보고 판단했을 때 일본 정부에서 합리적이지 못 하게 판단하고…주변에서 많이들 (불매 운동에) 참가하는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반 아베 정서도 여전히 견고합니다. <br /> <br />여론 조사 결과 정부의 한일분쟁 대응을 지지하고,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 결정도 잘했다는 응답자가 과반입니다. <br /> <br />끈질긴 불매 운동과 아베 규탄 움직임에 일본 정부가 적잖은 타격을 받았다는 분석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[구정우 /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: 불매운동에 많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면서 일본이 한국이나 한국 제품에 대해서 취한 조치의 부당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됐습니다.] <br /> <br />대법원 판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02622282326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