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도 기나긴 줄다리기를 하고 있죠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이 잘 안풀리자 초조했던 걸까요?. <br> <br>천안함 폭침 배후로도 꼽혔던 강경파, 김영철을 다시 전면에 등장시켜 "미국의 시간 끌기는 망상"이라며 미국에 태도 변화를 재촉했습니다. <br> <br>노은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월, 하노이 북미회담 결렬 이후 일선에서 물러났던 대미 강경파 김영철이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장 직함으로 담화문을 내며 다시 전면에 나섰습니다. <br><br>김영철은 "미국이 북미 정상의 개인적 친분을 내세워 연말을 넘겨보려 생각한다면 어리석은 망상"이라고 압박했습니다.<br><br>그러면서 "북미관계에 실제적 진전이 없고 당장이라도 불과 불이 오갈 수 있는 교전관계"라고 말했습니다.<br><br>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미국에 대화의 손을 내민 것과는 대조적인 메시지를 내면서 미국의 태도 변화가 없으면 새로운 길로 갈 수 있다고 압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] <br>"미국이 양보를 하지 않으면 북한이 핵보유국의 길을 가겠다하고 노골적으로 미국에게 경고를 하고 있는거죠." <br> <br>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이 묘향산 의료기구 공장을 찾아 "마감공사까지 내가 챙겨야 하냐"며 노동자를 질타한 사실을 공개하고 자력갱생을 강조하는 기록영화도 상영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자력갱생의 선구자들을 만나실때마다 그토록 기뻐하시고 내세워주시는 경애하는 원수님." <br> <br>하노이회담 결렬 이후부터 강조해 온 자력갱생 노선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노은지입니다. <br>roh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