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과 일본 정부는 양국을 사상 최악의 관계로 몰아넣은 결정타가 된 강제 징용 문제를 풀기 위한 묘수 찾기에 나섰지만, 아직 뚜렷한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데요 <br /> <br />그 해법의 하나로 경제협력 명목의 기금 설립 안이 부상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이 안을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 : (징용 문제에 대해) 아베 총리가 직접 명확하고 일관된 입장을 확실히 전달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'국가 간 약속을 깬 것은 한국이다, 그러므로 한국이 책임을 지고 일본이 수용 가능한 강제징용 해법을 먼저 내놓아야 한다' <br /> <br />아베 정권은 줄곧 이렇게 압박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 갈등 타개를 위해 한국 정부와 기업이 경제협력 명목의 기금을 창설하고, 일본 기업이 참가하는 방안의 초안을 마련했다고,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경제협력기금 설립을 위한 초안을 일본 측 관계자가 마련했다고 복수의 한일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이 안의 핵심은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보상 성격이 아니라, 한국과 일본이 상호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자금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안에 따르면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서 배상 문제가 해결이 끝났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따르고 일본 정부는 기금에 돈을 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한국 정부에 방안을 제시하라고 줄곧 요청했던 일본 정부가 갈등 해결책 모색에 적극적이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우리 외교부는 이 보도를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법부 판단을 존중하면서, 징용 피해자와 양국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찾겠다는 게 외교부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의 배상을 얻고자 하는 한국과 배상 책임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본. <br /> <br />입장 차이가 크지만 양국 모두 돌파구 마련을 원하고 있고, 특히 이전과 달리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출구 찾기 접근법의 변화 여부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[kims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02903091671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