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정규직 35만↓ 비정규직 87만↑…文 정부 일자리 참사

2019-10-29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문재인 정부의 1호 공약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‘비정규직 제로’ 였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오늘 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은 폭증한 정반대의 통계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달라진 조사방법 탓에 늘었다고 하는데, 홍유라 기자가 따져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경제장관회의(지난 17일)] <br>"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고용 개선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." <br> <br>대통령의 진단과는 딴판인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. <br> <br>1년 전보다 정규직은 35만명 정도 줄어들었고, 비정규직은 86만 7000명 늘었습니다. <br><br>2004년 이후 최대치 입니다.<br> <br>이례적으로 통계청장이 해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강신욱 / 통계청장] <br>"(작년과 올해를) 증감으로 비교하는 것을 불가…기간제 근로자를 추가로 포착해 금년도 조사에만 약 35만~50만명이 추가된 겁니다." <br> <br>조사방식이 변경된 탓에 비정규직이 늘었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[홍유라 기자] <br>"하지만, 정부의 설명을 감안하더라도 비정규직이 1년 만에 최소 36만명 늘어났다는 계산이 가능합니다." <br> <br>관련 부처 차관까지 해명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김용범 / 기획재정부 1차관] <br>"특이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에 이번 통계를 가지고 비정규직 숫자가 크게 늘었다, 이렇게 말하긴 어렵다고 봅니다." <br> <br>그러나, 취업 현장에선 아우성이 나옵니다. <br> <br>[김정식 / 천안 동남구] <br>"주변 상황을 보더라도 아르바이트나 계약직을 하고 있고요. 정규직이 많지 않은 건 사실이에요." <br> <br>전문가들은 조사방식의 차이가 아니라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진단합니다. 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경기 하강과 함께 우리나라 노동시장 경직성 문제와 결합되면서 비정규직 중심으로 일자리가 만들어지고…." <br> <br>일자리 정부에서 오히려 일자리 참사가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<br>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손진석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