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일 양국 국민이 함께 기금을 만들자. <br> <br>도쿄를 방문 중인 문희상 국회의장이 오늘 한일 갈등의 시발점인 강제징용 보상 문제의 새로운 해결안을 제시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정작 일본 참의원 의장은 문 의장과 악수도 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일본을 방문한 문희상 국회의장이 강제 징용 문제와 관련한 해법을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[문희상 / 국회의장] <br>"한일 국민 다. 뜻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든지. 대신 성금. 기부금. 강제로 종용하지 않는." <br><br>우리 정부가 기존에 제시했던 양국 기업들의 기금 마련에 더해, 양국민들의 성금까지 모아서 피해자들을 지원할 돈을 마련하자는 겁니다. <br> <br>그러나 일본이 수용할 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지난 주 양국 정치인들의 만남에서도 일본 측은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다 끝난 문제라는 입장을 반복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가와무라 다케오 / 자민당 의원] <br>"한국의 사법판단이 있다 할지라도 한국의 내정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더구나 강제 징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국민들이 성금을 내자는 안에, 일본 국민들이 얼마나 동의할 지도 의문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문 의장의 '일왕 사죄’ 발언에 대해 사과가 부족하다며 회담을 거부한 산토 아키코 일본 참의원 의장은 <br><br>회의장에서 문 의장과 악수도 하지 않았습니다. 문 의장도 일정을 대폭 축소해 공식 일정만 소화할 예정입니다. <br>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<br>bsism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