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집트에서 발생한 최악의 축구장 난동 사건이 지난해초 '시민 혁명' 이후 잠잠하던 카이로 거리의 대규모 군중 시위로 비화하고 있다. <br /> <br />외신 등에 따르면, 74명의 사망자와 1천여 명의 부상자를 낸 2일 포트사이드 축구장 난동 직후 성난 군중들은 카이로의 내무부 청사 앞에 모여 돌을 던지며 강력 항의했다. <br /> <br />당시 경기장에 있던 경찰들이 폭력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. <br /> <br />이에 경찰이 최루탄을 발사하며 해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최소 2명이 질식하거나 돌에 맞아 숨지는 등 630여 명의 부상자가 속출한 것으로 알려졌다. <br /> <br />과도 정부를 이끌고 있는 군 최고위원회(SCAF)의 후세인 탄타위 위원장은 "이번 난동 사건의 배후를 추적할 것"이라며 진화에 나섰다. <br /> <br />모하메드 이브라힘 내무장관도 포트사이드를 관할하는 주지사와 치안 책임자인 경찰서장을 즉각 해고하는 한편, 난입 용의자 47명을 연행 조사하는 등 '민심 달래기'에 주력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집트 의회는 이브라힘 내무장관을 '직무태만'으로 고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. <br /> <br />앞서 포트사이드 축구장에서는 홈팀 '알 마스리'가 카이로 연고의 라이벌 '알 아흘리'를 상대로 3대1 승리를 거뒀다. <br /> <br />이에 열광한 홈팀 관중 일부가 경기장에 난입하고 다른 관중들도 이에 가세, 원정팀 응원단과 선수들을 공격하면서 사태가 불거졌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당시 경기장에 있던 경찰들이 속수무책으로 폭력사태를 방관하는가 하면, 좁은 입구로 대피한 관중들이 한꺼번에 몰려 압사자가 속출했다. <br /> <br />특히 원정팀측은 홈팀 관중 일부가 흉기를 소지한 점, 일부 출구가 막혀있던 점 등을 들어 '난동 사전 모의설'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. <br /> <br />이번 참사는 78명이 숨진 1996년 과테말라시티 사건 이후 최악의 축구장 난동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