설. 우리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. <br /> <br />이런 설에도 구한말 이후 우리 민족의 애환이 고스란이 담겨있다. <br /> <br />일제에 의해 음력설을 빼앗긴 것도 모자라,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인 1949년 대통령령으로 공포된 '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'에 따라 음력설은 국경일에서 공식 배제됐다. <br /> <br />1954년 공포된 '음력 과세방지에 관한 건'에서는 음력설에 대해, "대중생활에 뿌리 깊이 만연한 암적 존재"라고 표현하기도 했다. <br /> <br />근대화 시기 이후에는 '양력설을 쇠는 것이 근대화의 길'이라고 선전하는 계몽 포스터까지 등장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국민들이 여전히 음력설을 선호하자, 정부는 1984년 음력설을 '민족의 날'로 명명하고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 또한 어정쩡한 형태로 4년동안 유지되다, 1989년에 이르러 마침내 '설날'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불리워지게 됐고 쉬는 날도 사흘로 늘어났다. <br /> <br />1세기 동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던 설날이 다시 민족 최대의 명절로 부활하게 된 것이다. <br /> <br />민족과 함께 애환의 세월을 살아온 설 이야기를 옛 자료를 통해 되돌아 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