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4월 18일, KBS 드라마 '각시탈'의 보조출연자를 태우고 촬영현장으로 향하던 관광버스가 전복되어 보조출연자 박희석(49)씨가 사망한지 두 달이 다 되어가고 있지만 유족들의 시위는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. 유족 측은 "KBS를 비롯한 관련 회사들이 진정성 있는 사과 없이 오히려 유가족을 보상금과 관련한 돈 문제로 연결 짓고 있다"며 울분을 터뜨리고 있다.<br /> <br />지상파를 포함 케이블, 종편에서 제작되는 드라마는 한 해 100여 편 이상. <br />한 편의 드라마를 제작하기 위해 수많은 연기자와 스텝들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만, 그 중에서도 보조출연자는 필수적인 존재다. 그러나 보조출연자들의 근로 환경은 화려함 뒤의 어두운 그림자와도 같다.<br /><br />이들이 받는 일당은 4만 2000원. 여기에 이것저것 수당을 포함해도 손에 쥐는 돈은 적게는 한 달에 15만원, 많아 봐야 100만 원 정도가 고작이다. 특히, 촬영 환경은 '인생막장'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열악한 곳이 많다. <br /><br />"소품은 조금 비싸면 조심스럽게 다루거든요. 사람이라 그런지 소품 취급조차도 안 될 정도로... 소, 돼지 이런 식으로 저희가 표현을 하거든요, 보조출연자를 그렇게 대접을 한다고." "탈의실이라는 거는 생각할 수도 없고, 남녀가 서로 뒤돌아서 보지 말자, 화장실은 전체가 화장실이고..." "인생막장이 노가다판인줄 알았더니 인생막장이 바로 여기야. 노가다판에 가도 이렇게는 안 해요"<br /><br />하지만 드러내놓고 불만을 토로하는 보조출연자는 거의 없다고 한다. <br />현재 여의도에서 활동하는 보조출연자만 10만 명 정도. 공급보다 수요가 넘쳐나는 보조출연자 시장에서 불만은 곧 '내일부터 나오지 마!'라는 답변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. 또한 방송국, 드라마 제작사, 용역업체, 보조출연자로 이어지는 관계 속에서 이들의 목소리는 대답 없는 메아리일 뿐이다. <br /><br />지난 11일 새벽 0시 30분 여의도 MBC 앞. <br />20대부터 60대를 훌쩍 넘긴 이들까지 어림잡아 몇 백 명은 돼 보이는 사람들이 드라마 보조출연을 하기 위해 삼삼오오 모여 있었다. "무슨 역할이냐, 지금 가면 촬영은 언제 끝나느냐"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"모른다. 기약 없다"라는 답변만 돌아왔다. <br />새벽 1시, 이들은 이름, 주소, 계좌번호 등 출연료를 받기 위한 간단한 일지를 쓰고 반장의 짧은 설명을 들은 후 촬영장으로 떠나는 버스에 몸을 실었다. <br /><br />"보조출연자도 똑같은 연기자잖아요. 종이나 이런 게 아니고 똑같은 사람으로 봐줬으면 좋겠어요"<br />어느 60대 보조출연자의 말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