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(故) 장준하 선생 37주기 추모식과 장준하공원 제막식이 17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성동리 통일공원에서 열렸다. <br /><br />이날 제막식에는 장준하 선생의 미망인 김희숙 여사와 장남 장호권 씨, 이해찬 민주통합당 대표, 정세균 대선 경선 후보 등 추모객 500여명이 참석해 넋을 달랬다.<br /><br />추모행사는 개식, 초혼, 조총, 추모식사, 추념사, 추모가, 헌화분양, 폐식 등 순으로 1시간가량 진행됐다.<br /><br />이해찬 대표는 추념사에서 "당시 여러 차례 진상규명 시도가 있었으나 한 번도 당당하게 제대로 밝히지 못했다"며 "반드시 진상을 규명해서 그 못된 짓을 한 저들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 우리의 몫이라고 생각한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장호권(63) 씨는 "아버님이 참 비참하게 죽임을 당했다"며 "장준하기념사업회를 통해 국가에 진상규명을 요청하고 끝까지 파헤치겠다"고 다짐했다.<br /><br />장준하 선생의 묘는 지난 1일 돌베개 모양의 바위로 묘의 봉분을 삼아 공원 위쪽 양지 바른 곳에 조성됐다.<br /><br />공원에 설치된 추모벽은 장준하 선생의 뜻과 희생정신을 백두대간으로 좌우측에 형상화했다. <br /><br />좌측 벽은 연보를 기록했고, 우측 벽에는 장준하 선생의 대표적 저서인 '돌베개'와 당대 지식인의 등대 역할을 했던 '사상계'에 대한 소개 등이 수록됐다.<br /><br />추모벽 중앙에는 장준하 선생의 고행과 정신을 기리는 상징적 요소인 돌베개를 설치해 통일의 염원을 담았다. 장준하 선생의 흉상부조도 설치됐다.<br /><br />1918년 평안북도 의주에서 태어난 장준하 선생은 일제 강점기 광복군·임시정부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벌였다.<br /><br />해방 뒤에는 3선 개헌에 반대하는 등 민주화 운동을 벌이다 1975년 8월 경기 포천시 약사봉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. 당시 검찰은 '등산 중 실족에 의한 추락사'라고 사인을 발표했다. <br /><br />과거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 2004년 타살 의혹을 조사했으나 '진상규명 불능'이라는 결론지었다.<br /><br />유족은 지난 1일 이장하는 과정에서 두개골 뒤쪽에 지름 5∼6cm의 구멍과 금이 간 흔적이 발견됐다며 타살 의혹을 재차 주장하고 나섰다.<br />(CBS 고무성 기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