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'진보는 분열한다'는 역사의 규정을 다시 증명하고 확인해 버렸다"<br /><br />통합진보당 분당이 현실화하자 지난 10일 강기갑 당시 당 대표가 눈물을 흘리며 한 말이다.<br /><br />지난 4.11 총선 비례대표 부정 경선 파문으로 최대 위기를 맞았던 통진당.<br /><br />'부정이 개입된 경선을 거친 비례대표 당선자와 후보 총사퇴'가 수습책으로 제시됐지만, 이석기·김재연 의원으로 상징되는 당권파는 이를 완강하게 거부했다.<br /><br />게다가 최악의 당내 폭력 사태까지 벌어지면서, 통진당은 점점 더 깊은 나락으로 빠져들었다.<br /><br />이석기·김재연 의원 제명 시도마저 김제남 의원의 반란(?)으로 물거품이 되자, 강기갑 대표를 비롯해 의원과 당직자들이 줄줄이 탈당하는 '통진당 엑소더스'가 빠르게 진행됐다.<br /><br />결국, 2008년 민주노동당 분당 사태를 겪었던 진보 정당은 불과 3년 만에 또 다시 분열의 운명을 맞았다.<br /><br />지난해 12월 진보 정치 세력들은 통진당을 창당함으로써, 2008년 분열 사태를 극복하는 듯했다.<br /><br />당시 이정희 전 대표는 "이제 '보수는 부패로 망하고,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'는 통념이 '진보는 통합의 힘이 있다'는 희망으로 바뀌고 있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'더 이상 진보에 분열은 없다'는 자신감의 표현이었다.<br /><br />그러나 통진당을 창당한 지 불과 열 달도 되지 않아 진보 정치 세력은 또 다시 갈라서고 말았다.<br /><br />진보 정치 세력의 콤플렉스가 되버린 '분열', 그들의 거듭되는 분열의 역사를 짚어봤다. [기획 / 제작 : 김송이 기자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