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화 '남영동 1985'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, '불편한 진실'이다. <br /><br />사실적인 고문 묘사에 영화를 보는 내내 불편하고, 스크린에 비춰진 모습이 1980년대의 진실이라는 데 가슴이 먹먹해진다.<br /><br />'부러진 화살'의 정지영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남영동 1985는 전두환 군사독재가 절정에 달했던 1985년 '공포의 대명사'로 불리던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실제로 벌어진 22일간의 잔인한 기록을 담은 영화다.<br /><br />고(故) 김근태 전 민주당 상임고문의 자전적 수기가 영화의 바탕이다.<br /><br />지난 5일 열린 언론 시사회에서 정지영 감독은 "무겁고 어둡지만 되도록 많은 국민이 봐야 하는 영화라고 생각하며 만들었다"고 밝혔다.<br /><br />정지영 감독은 "많은 국민이 같이 아파하고 슬퍼하면서 현실과 미래를 검증하는 영화가 되기를 바란다"고 덧붙였다.<br /><br />특히, 정 감독은 "아픈 과거사의 한 단면을 들춰낸 영화인 만큼 국민 반응 등을 통해 이번 대선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한다. 아니 영향을 끼쳤으면 좋겠다"는 과감한(?)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.<br /><br />영화는 김근태 전 고문의 생애가 아닌 고문 그 자체에 집중한다. <br /><br />사실적이고 구체적인 고문 묘사가 영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, 그로 인해 인간이 파괴되는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. <br /><br />배우들의 연기 또한 아주 사실적이어서 고문을 당하는 '김종태'가 한없이 가엽고, 고문을 가하는 '이두한'을 보고 있노라면 절로 분노가 치민다.<br /><br />민주화운동청년연합 전 의장으로 박정희, 전두환 군사독재에 저항한 민주투사 김종태 역을 맡은 박원상은 "고문신은 정말 힘들었다"고 토로했다.<br /><br />박원상은 "고문을 당하는 고통이 관객에게 최대한 실감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내 자신이 최선을 다해 버티는 것이었다"며 "촬영하는 동안 고문 가해자를 연기한 이경영, 이천희 등이 실제로 미워지더라"는 말로 연기의 고통(?)을 설명했다. <br /><br />'희대의 고문기술자' 이근안을 묘사한 '이두한' 역의 이경영은 더없이 악랄하고 냉혈한 인간으로 변모했다.<br /><br />이경영 역시 "연기할 때는 미처 몰랐는데 나중에 영화를 보니 영화에게 미안하고, 관객들에게 미안하고, 박원상에게 미안했다"고 사과할 정도로, 섬뜩할 만큼 사실적인 고문 가해자 연기에 몰입했다. <br /><br />전 국민의 숨소리까지 검열하는 군사독재가 기승을 부리던 1985년의 9월 4일,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 515호에서는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? <br /><br />참혹하지만,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결코 지워져서는 안 될 22일 동안의 기록이 오는 22일 스크린에서 펼쳐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