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얀마(옛 버마) 민주화의 상징으로 불리는 아웅산 수치 여사(67). 그녀는 민주화를 위해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고 걸어 자국민들에게 희망의 또 다른 이름이 됐다.<br /><br />그 아웅산 수치 여사가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평창 스페셜올림픽 현장을 찾았다.<br /><br />지적 장애인들의 축제인 스페셜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아웅산 수치 여사는 차분하면서도 부드러운 목소리로 미얀마를 사랑하는 마음과 세계인을 사랑하는 마음을 전했다. 김연아 선수와 같이 서 있는 장면만으로도 감동을 줬다. <br /><br />수치 여사는 개막식에 참석한 데 이어 스페셜올림픽 글로벌 디벨롭먼트 서밋(Global Development Summit)에 참가해 "마음을 열고 자비를 베풀며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해야한다"고 강조했다. <br /><br />특히 "미얀마는 지난 50년동안 정치, 사회적으로 장애를 겪어 왔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"고 말하기도 했다. <br /><br />수치 여사는 "지적장애는 다양한 장애 중의 하나이며 더 많은 자비가 필요하다"며 "사랑, 자비, 솔직함, 정직함 이런 것들이 중요하며 이걸 믿지 않는 사람들과는 계속해서 대화를 해야한다"고 덧붙였다. <br /><br />이 자리에 함께 참석한 조이스 반다 말라위 대통령은 "지적장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지가 있어야한다"고 강조했다.<br /><br />그녀는 또 "정치적 의지와 결단이 있다면 지적 장애인들을 인정하고 장애물과 사회적 편견을 근절하기위해 노력해야한다"고 힘주어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