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제=성남 '안나의 집'에서 저녁마다 노숙인, 노인들에게 성찬 <br /> <br />◈'안나의 집', since 1998 <br /> <br />'천당 밑에 분당'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 질 정도로 분당은 1기 신도시 중 가장 잘 조성되고 부유한 동네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성남 구도심과 인접한 야탑동은 분당속의 성남으로 달동네 이주민들의 영구 임대아파트가 밀집된 곳이다. <br /> <br />김 신부는 이곳에서 1994년 분당 목련마을 공부방을 열었다. <br /> <br />그러다 1998년 야탑동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던 세례명 마테오 형제의 식당에서 그의 권유와 지원을 받아 세상으로부터 소외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급식봉사를 시작했다. <br /> <br />그해 7월 급식소를 열자마자 IMF의 여파로 거리로 내몰린 사람들이 하나, 둘 몰려들기 시작했다. <br /> <br />"마테오 형제에게 물었다. 왜 봉사를 하느냐." <br /> <br />"그가 답했다. 고생만 하시다 돌아가신 어머니에게 효도하는 마음으로 봉사하고 살고 싶다며 돌아가신 어머니의 세례명이 안나라고 했다." <br /> <br />더 많은 이웃들을 위해 11월 중원구 하대원동 성남동성당으로 터를 옮긴 김 신부는 봉사의 삶으로 인도해준 은인의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급식소의 이름을 '안나의 집'이라고 이름을 짓고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. <br /> <br />안나의 집은 그렇게 해서 전국 최초로 저녁 급식봉사를 시작했다. <br /> <br />◈병들고 소외된 이들의 오아시스 <br /> <br />안나의 집에는 매일 400~500여 명의 병들고 소외된 이웃들이 찾는다. <br /> <br />1998년 11월 첫 저녁 급식봉사를 시작한 후 그해 연말까지 8,632명이 다녀갔다. <br /> <br />이후 안나의 집에 대한 입소문이 퍼지면서 2007년 연인원 10만 명을 돌파했고, 2011년 17만6,370명, 2012년 14만8,035명 등 15년간 총 130만여 명에게 급식봉사를 하고 있다. <br /> <br />이들을 위해 김 신부는 물론 안나의 집 운영요원, 자원봉사 의료진, 미용 봉사자 등 총 5만419명이 노숙인 등을 위해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. <br /> <br />매일 고기, 생선, 채소 등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해 거리의 사람들로부터 최고의 성찬이라는 찬사가 자자하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노숙인들은 물론 매일 40~50명의 홀몸노인들도 이 곳을 찾고 있다. <br /> <br />노숙인 A(60)씨는 "안나의 집에 오면 마음이 편하다"며 "진심으로 우리를 환영한다는 느낌이 든다. 한국사람들도 하기 힘든 일을 이탈리아 출신 신부님이 하고 계신다. 정말 감사하게 생각한다"고 말했다. <br /> <br />홀몸노인 B(여·83)씨는 "강동구 마천동에 살지만 거동이 어려운 날을 제외하고 매일 이곳을 찾고 있다"며 "음식에 정성이 배여 있고, 정을 느낄 수 있어 이곳을 찾는다. 함께여서 행복하다"고 했다. <br /> <br />◈사랑과 희망이 넘치는 세상을 위하여! <br /> <br />"어느 겨울 안나의 집 문앞에 지쳐보였지만 예쁜 아가씨가 서성이고 있었다. 어떻게 오셨습니까 했더니 배가 고파서 왔단다." <br /> <br />"그날부터 그녀는 안나의 집의 식구로 머물렀다. 시간이 흘러 사회 나갔던 그녀가 어느날 문득 돌아왔다. 그녀는 말없이 봉투 하나를 내밀었다." <br /> <br />무엇이냐고 물으니 "그날 너무 배가 고파서 몸을 팔아 돈을 벌 생각까지 했다. 신부님을 만나서 도움을 받아 이제는 새삶을 살고 있다.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써달라"고 했다는 것. <br /> <br />김 신부는 "그 돈은 고이 간직하고 있다"며 "아무리 어려워도 쓸수 없다"고 속내를 털어놨다. <br /> <br />그는 그러면서 "단 한 사람이라도 안나의 집에서 희망을 느낀다면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사랑하고 헌신하고 싶다"며 "안나의 집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"고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