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일 오후 KBS와 MBC, YTN 등 국내 주요 방송사와 신한은행, 농협 등 주요 금융기관의 사내 전산망이 동시에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다.<br /><br />정부는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상황을 파악 중이지만 북한의 개입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. <br /><br />이날 오후 2시쯤 KBS와 MBC, YTN 직원들이 사용하는 사내 컴퓨터와 노트북에는 재부팅하라는 메시지가 떴다. 이후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전원이 다시 켜지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. <br /><br />보안 전문가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침입한 악성코드가 사내 전산망을 장악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. <br /><br />한 보안 전문가는 "사내 컴퓨터 중 한 대에 미리 심어놓은 악성코드가 해킹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"며 "디도스 공격보다는 더 진일보했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다른 보안 전문가도 지능형 지속 공격 해킹(APT: Advanced persistent threat)이나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변조 해킹에 무게를 두고 있다. <br /><br /><br />농협에서도 오후 2시 15분 경 중앙본부 및 일부 영업점에서 일부 PC가 마비되는 현상이 발생했다.<br /><br />농협은 사태발생 직후 확산 방지를 위해 영업점을 포함한 모든 사무소의 PC, 단말기 및 자동화기기의 랜선을 분리하도록 조치했다.<br /><br />현재 농협의 메인 서버는 이상이 없으며,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 또한 정상적으로 거래중이다.<br /><br />신한은행도 오후 2시20분쯤 전산망이 마비됐지만 4시10분쯤 모두 복구했다며 인터넷뱅킹과 스마트뱅킹, 은행 창구거래 등 모든 거래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. <br /><br />신한은행은 고객불편을 고려해 창구거래를 오후 6시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.<br /><br />청와대는 방송사와 은행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국가안보실을 가동하며 긴급하게 원인 파악에 나섰다. <br /><br />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"현재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가 위기관리센터를 중심으로 관련 비서관과 함께 합동으로 상황을 파악 중"이라며 "상황이 파악되는 대로 소상히 국민들에게 알리겠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박근혜 대통령도 김 내정자로부터 관련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받고 대응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. <br /><br />정부통합전산센터에 따르면 국가정보통신망에는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.<br /><br />행정안전부 관계자는 "각급 행정기관과 지자체 연계망은 내부망, 인터넷망 모두 아무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"고 설명했다.<br /><br />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관계자는 "동시다발적으로 신고가 들어와 현장에 수사관을 급파해 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"면서 "현장에서 사이버테러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해 즉각 수사를 진행할 것"이라고 말했다.<br /><br />정부는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상황을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졌지만 아직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. <br /><br />정부 관계자는 "북한의 사이버테러인지 여부는 아직 파악된 건 없다"고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