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BS노컷뉴스 조혜령 기자<br /><br />여름의 무더위가 절정을 이룬 10일, 서울광장이 국정원 규탄을 외치는 촛불의 열기로 뜨겁게 달아올랐다. <br /><br />이날 서울 광장 5만명 등 전국 각지에서 10만명의 시민이(주최측 추산)이 6번째 촛불을 들었다. <br /><br />주최측은 국정원 개혁과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, 국정원 개혁을 요구하고 나섰다. <br /><br />첫 기조연설에 나선 박석운 진보연대 공동대표는 "국정원이 헌법과 민주주의를 무시하고 있는데 헌법을 수호할 책임이 있는 박근혜 대통령은 계속 모르는 일이냐고 우길 거냐'며 "박 대통령이 국민 앞에 직접 나서서 사과해야 한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뒤이어 무대에 오른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는 "경찰이라면 범죄 혐의를 확안했을 때 사냥개처럼 쫓아가 진돗개처럼 물어야 하지만 지난해 12월 경찰은 범죄 혐의를 포착하고도 그러지 못했다"며 "경찰이 범죄자가 남긴 증거를 인멸해주고 거짓말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아팠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표 전 교수는 또 "시간과 역사는 진실과 정의의 편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"며 "전두환 독재 정권과 히틀러 나치 통치가 영원하지 않았듯 이번 국정원 개입은 다음 정권에서 혹독히 처벌 받을 것"이라고 강력히 정부를 규탄했다. <br /><br />정치인들의 시국 연설도 이어졌다.<br /><br />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"유린된 민주주의를 회생시키고 짖밟힌 주권을 사수하기 위해 시민의 광장에 깨어있는 시민과 함께 하고 있다"며 "민주당은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찾아내 재발 방지와 대통령의 사과,국정원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그러나 "새누리당과 청와대가 정신 못차리고 있지만 선거 결과를 바꾸자는 것은 아니니 너무 쫄지 말라"는 말에는 시민측에서 야유가 쏟아져나왔다.<br /><br />시민들은 '박근혜 하야'가 적힌 피켓을 올리며 "그게 아니다! 민주당 나가라"고 소리치기도 했다. <br /><br />결국 전 원내대표는 시민들의 야유 소리에 묻혀 발언을 채 끝내지 못하고 서둘러 무대를 내려왔다. <br /><br />전 원내대표 다음 순서로 무대에 오른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는 "이 사건의 핵심은 박근혜 캠프가 조직적으로 국정원과 경찰 수뇌부를 불법 동원한 것"이라며 "최대 수혜자인 박근혜 대통령이 모든 사태를 책임져야 민주주의가 회복된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이어 이 대표는 "새누리당은 민주주의 사이에서 불온이니 과격이니 딱지 붙여놓고 민주주의 세력을 분열시켜 왔다"며 "촛불은 하나라고 당당히 말하자"고 외쳤다. <br /><br />이날 집회는 두 시간여 동안 이어진 뒤 저녁 9시 30분쯤 별다른 충돌 없이 끝이 났다.<br /><br />참가자들은 집회가 끝난 이후에도 아쉬운 마음에 쉽게 발길을 돌리지 못하고 삼삼 오오 모여 노래를 부르거나 '박근혜 대통령이 책임져라'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.<br /><br />'진격의 촛불'이라는 피켓 머리띠를 직접 만들어 친구들과 함께 집회에 참여한 대학생 김정민(22)씨는 "대학생이라면 당연히 이 문제에 관심 가져야 할 것 같아서 집회에 나오게 됐다"며 "박근혜 대통령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'박근혜 하야'라는 피켓을 막대 풍선에 매달아 흔들던 시민 박정운(58)씨도 "국정원 개입과 경찰 수사 등 모든 일에 박 대통령이 개입돼 있다고 생각한다"며 "박 대통령이 모든 걸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"고 주장했다. <br /><br />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서울광장 일대에 경찰력 113개 중대, 여경 1개 중대 등 총 6천800여명을 배치했다. 반면 집회 참여 인원은 1만 6천명으로 추산해 주최측과 큰 차이를 보였다. <br /><br />한편 같은 시각 서울광장 건너편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는 대한민국재향경우회와 한국자유총연맹, 북한민주화위원회 등 보수 성향 시민단체들이 트로트 등 음악 소리를 크게 틀어놓고 맞불 집회를 열기도 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