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해외 신용카드 복제 일당, '金보다 담배' 선택한 이유는?

2019-11-04 1 Dailymotion

박근혜 정부의 담배 인상 정책을 악용, 복제 카드로 담배를 거래해 수억원을 가로챈 4인조 일당이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.<br /><br />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이모(46)씨 등 4명을 구속했다고 28일 밝혔다.<br /><br />이씨 등은 2014년 11월부터 최근까지 불법으로 취득한 해외 신용카드를 이용, 신용카드를 복제해 총 882차례에 걸쳐 2억 700여만원을 부정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.<br /><br />다단계 화장품 판매업을 통해 친분을 쌓은 이들은 신용카드 위조 전과가 있던 이씨를 중심으로, 복제한 카드로 물건을 사들인 뒤 되팔아 각자의 사업자금을 마련하기로 공모했다.<br /><br />우선 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건당 약 10~30만원을 건네고 브라질 등 외국인의 신용카드 정보를 사들였다.<br /><br />이들이 손에 쥔 정보는 카드 번호나 카드 유효기간, CVC 번호, 발급 소유자 성명, 카드 발급사 고유 인식 번호 등, 통상 신용카드 마그네틱 선 안에 담겨있는 정보들.<br /><br />이후 서울 관악구의 한 사무실에서 246건의 신용카드 정보를 다른 카드에 복제한 뒤, 전국의 금은방, 편의점 등을 돌며 금붙이나 담배를 샀다가 되팔아 현금을 챙겼다.<br /><br />이들은 일반 업소에서 회원증 카드 등을 제작할 때에도 사용하는 리더&라이터(reader&writer) 기기를 이용, 1분도 채 걸리지 않아 손쉽게 신용카드를 복제할 수 있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동종 전과로 경찰 추적을 받기 쉬운 이씨가 카드 위조를 전담하는 대신 수익금의 40%만 받고, 나머지 일당은 위조한 카드로 업소에 들어가 물건을 사고 파는 형태로 각자 역할을 분담하기도 했다.<br /><br />국내 카드 매입사로부터 실제 카드 소유자인 외국인에게 카드 결제 내역이 전해질 때까지 한 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에 이들의 범행은 약 4개월에 걸쳐 계속될 수 있었다.<br /><br />하지만 총 801차례에 걸쳐 2억여원 어치의 물품을 거래했던 이들의 범죄행각은 결국 경찰에 꼬리를 밟혔고, 지난해 2월 김모(47)씨를 제외한 3명이 먼저 경찰에 붙잡혀 구속됐다.<br /><br />경찰의 체포망을 벗어났던 김씨는 도피 생활 중에도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3건의 카드 정보를 복제해 81차례에 걸쳐 담배 700여만원 어치를 거래하다 끝내 경찰에 붙잡혔다.<br /><br />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범행 초기에는 금은방을 범행대상으로 삼았지만, 이내 신용카드 한도 등으로 인해 결제 승인이 나지 않아 업주들이 수상히 여기자 새로운 범행대상을 찾은 것으로 드러났다.<br /><br />때마침 지난해 초 박근혜 정부가 담배 가격을 인상한 사실에 주목한 이씨 일당은 편의점·마트를 돌며 1~2보루씩 담배를 집중 구매한 뒤 인터넷 또는 지인을 통해 되팔았던 것으로 조사됐다.<br /><br />경찰 관계자는 "실제 신용카드에 정보를 덧입히는 수법을 사용해 겉으로 보기에는 카드 복제 여부를 알 수 없다"며 내부 암호가 설정된 IC 카드와 달리 마그네틱 카드는 손쉽게 복제할 수 있다"고 설명했다.<br /><br />이어 "카드번호와 매출전표의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면 이같은 범행을 예방할 수 있다"며 "한국인터넷진흥원에 해당 카드 정보 거래 사이트를 유해사이트로 지정토록 협조를 구할 계획"이라고 덧붙였다.<br /><br />CBS노컷뉴스 김민재 기자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