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약에 가습기 살균제 독성물질인 CMIT/MIT가 검출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량 회수 조치를 했지만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.<br /><br />그런데 식약처와 전문가들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입장을 밝혀 국민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.<br /><br />식약처는 “양치한 후 입안을 물로 씻어내니까 인체에 유해성은 없다”고 밝혔고 중앙대 의대 김범준 교수는 2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“사실 외국에서 보면 코미디다 CMIT, MIT 치약은 전세계에서 지금 멀쩡하게 다 쓰고 있는데 이건 흡입했을 때 문제가 되는 것”이라고 말했다.<br /><br />그러나 분명한 것을 CMIT/MIT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알려진 독성물질로 계면활성제가 원료로 흡입할 땐 위험해질 수 있다.<br /><br />CMIT/MIT는 애경 가습기 살균제 '가습기 메이트'의 원료이며 이를 사용해 128명의 피해자가 나왔고 이 중 27명이 사망했다.<br /><br />미국 피부염학회는 2013년 MIT를 ‘올해의 알레르기 발생 물질’로 선정했고 유럽집행위원회 소비자안전과학위원회는 “양과 상관없이 MIT가 들어간 제품 사용은 주의하라”고 당부했다.<br /><br />인하대 의대 임종한 교수도 이날 방송에 출연해 “여러 제품에 사용되는 MIT, CMIT가 체내에 흡수되게 되면 이것이 노출량이 증가돼서 결국에 몸에서 독성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”고 경고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