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(故) 백남기 씨의 영결식이 5일 오후 2시 광화문광장에서 치러졌다. <br /><br />지난해 11월 14일 민중총궐기에서 물대포에 맞아 쓰러진 지 358일, 사경을 헤매다 숨진 지 41일 만이다.<br /><br />백 씨의 시신은 다음날 광주 민족민주열사묘역에 안치된다.<br /><br />고인의 영결식에는 시민 1만여 명 등 수많은 인파들로 가득 찼다.<br /><br />고인에 대한 묵념을 시작으로 시민들은 '우리가 백남기다', '살인정권 퇴진하라', '책임자를 처벌하라' 등의 구호를 외치며 현 정권을 규탄했다.<br /><br />이날 영결식을 찾은 박원순 서울시장은 "살수차의 살인적인 물줄기로 생명을 빼앗는 행위는 명백한 국가 폭력이자 공권력의 이름으로 자행된 범죄행위"라고 목소리를 높였다.<br /><br />박 시장은 이어 "앞으로 그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평화집회를 지연할 목적의 소방수(소화전) 사용은 허용하지 않을 것"이라고 경찰에 경고했다.<br /><br />박 시장이 연설을 마치자 시민들의 박수갈채가 광장을 가득 매웠다.<br /><br />이모(27·여) 씨는 "방송에서만 들었던 백 씨의 소식을 실제 광장에서 접하게 돼 감개무량하다"면서 "영결식을 보면서 남자친구와 계속 백 씨 관련 이야기만 하고 있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영결식에서는 야당 대표들의 추모사도 이어졌다.<br /><br />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"백 씨 영전 앞에 우리는 죄인"이라고 운을 뗀 뒤 "고인을 보내는 게 아니라 우리 가슴에 묻겠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"정치적 민주화를 쟁취한 지 30년이 다 됐지만 아직도 이 땅에 공권력에 의한 죽음이 사라지지 않아 착잡하다"면서 "특검을 실시해 고인의 죽음을 밝히겠다"고 시민들 앞에서 약속했다.<br /><br />심상정 정의당 대표 역시 "고인에게 정부의 사과 한마디 올리지 못해 부끄럽고 죄송하다"면서 "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철저히 심판하겠으며, 그것이 국민의 명령이다"라고 목소리를 높였다.<br /><br />백남기투쟁본부는 결의문을 통해 "오늘 우리는 백남기 농민을 보내며 끝나지 않은 투쟁의 시작을 선포한다"고 밝혔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백남기 농민 살인 책임자를 처벌해 국가 폭력 없는 세상, 국민을 살리는 국가를 만들겠다"고 다짐했다.<br /><br />영결식이 끝나면 백 씨의 관구를 태운 운구차는 전라남도 보성으로 출발한다.<br /><br />경찰에 따르면, 이날 백 씨의 영결식에는 1300여명의 경력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.<br /><br />앞서 이날 오전 8시부터 백 씨의 발인식과 장례미사가 차례로 거행됐다.<br /><br />유족들은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안치실에서 백 씨의 관구와 영정 사진을 둘러싼 가운데 간단한 의식을 치렀다.<br /><br />고인의 아들 백두산 씨가 영정사진을 들고 안치실에서 나오자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시민들 50여명은 조용히 고개를 숙인 채 한동안 관구만 바라봤다.<br /><br />행렬 뒤를 따르던 시민들도 관구가 운구차까지 이동하는 장면을 휴대폰에 담았다.<br /><br />이후 백 씨의 관구는 검정색 운구차에 실려 장례미사를 위해 서울 중구에 위치한 명동대성당으로 향했다.<br /><br />오전 9시 명동대성당은 '국가폭력 책임자 처벌, 살인정권 퇴진!'이라고 적힌 검정색 근조를 가슴에 찬 시민들과, '우리가 백남기다'라는 하얀 종이를 들고 있는 어린 중학생까지 수백명의 사람들로 가득찼다.<br /><br />오전 10시 30분, 장례미사가 끝나자 백 씨의 관구를 실은 운구차는 종로1가를 통해 종로 서린로터타에 위치한 르메이에르 건물 앞에서 멈췄다.<br /><br />지난해 11월 14일, 이 건물 앞 차도에서 백 씨는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쓰러졌다.<br /><br />백 씨는 사경을 헤매다 쓰러진 지 317일 만인 지난 9월 25일 숨졌다.<br /><br />운구차 뒤에는 상여와 함께 '국가폭력 끝장내자', '살인정권 물러나라' 등의 플래카드를 든 시민들 100여명이 뒤를 따랐다.<br /><br />그 옆은 백 씨의 유족들이 '백남기 농민을 지켜주신 국민여러분 고맙습니다'라는 현수막을 들고 행렬에 동참했다.<br /><br />오전 11시 30분부터는 르메이에르 건물 앞 차도에서 고인에 대한 노제가 시작됐다. 노제는 상여가 장지로 가는 도중에 거리에서 지내는 제사다.<br /><br />유족들이 상여와 국화꽃이 놓인 맨 앞줄에 앉았고, 그 뒤로 시민들 400여명이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지켰다.<br /><br />백남기투쟁본부 관계자는 노제에서 "선배님 감사합니다"라고 운을 뗀 뒤, "선배의 유산을 물려받아 책임자들을 처벌해 평화가 숨 쉬는 새 역사를 만들겠다"라고 다짐했다.<br /><br />길가에 있던 시민들도 가는 발걸음을 멈추고 노제를 지켜봤다.<br /><br />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