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런데 이런 이례적인 상황이 국민에게 알려지게 된 과정도 논란입니다. <br> <br>오늘 오전 청와대 간부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가 언론에 우연히 노출돼 논란이 된 후에야 통일부가 브리핑에 나섰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숨기려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어서 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 고위관계자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직원이 보낸 문자메시지를 휴대전화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메시지에 "오늘 오후 3시에 판문점에서 북한주민 2명을 북측으로 송환 예정"이라고 적혀 있습니다.<br> <br>정부가 공개하지 않았던 북한주민 2명의 추방 사실을 언론사 카메라에 잡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알게 된 겁니다. <br><br>문자에는 "자해 위험이 있어 적십자사가 아닌 경찰이 에스코트 할 예정"이라는 문구도 있습니다.<br> <br>북한 주민이 왜 자해를 시도하려 하는지 정부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백승주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자해우려가 있는 북한주민을 북한으로 보내는 걸 한다는 말입니까? 반인륜적이고 진실도 조사해야 하지만, 있을 수 없는 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" <br><br>송환과 관련해 통일부와 국정원간 입장정리가 안됐다는 대목도 있습니다.<br> <br>[정진석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강제 북송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지울 수가 없어요. 북한으로 북송하는 문제에 대해서 관련 부서인 국정원과 통일부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.” <br> <br>통일부는 "절차상 문제를 협의하는 중"이었다면 이견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조사를 3일 만에 끝내면서 물증 없이 북한 주민의 진술만으로 16명을 살해했다는 결론을 내린 것도 야당 의원들은 문제 삼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grac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배시열 <br>영상편집 : 이준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