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베트남서 온 화물에…긴다리 비틀개미가 ‘우르르’

2019-11-07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금 보고 계신 이 개미는 생태계를 파괴할 뿐 아니라 전자제품도 씹어먹어 노랑 미친개미로 불리는 '긴다리 비틀개미'입니다. <br> <br>외래종으로 알려진 이 개미 수천 마리가 인천에서 발견돼 비상입니다. <br> <br>공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인천에 있는 기계공장 화단에 파란색 물체가 20미터 간격을 두고 놓여 있습니다. <br> <br>안에는 육포가 달려있고 옆에는 작은 구멍도 보입니다. <br> <br>바닥에는 구멍으로 들어온 개미를 잡아 둘 친환경 부동액이 고여 있습니다. <br> <br>'긴다리 비틀개미'를 잡으려고 설치한 덫입니다. <br> <br>[인천시 관계자] <br>"트랩(덫) 안에 육포 같은 걸 넣어가지고 개미들을 유인하는 거예요." <br> <br>공장에서 긴다리 비틀개미가 발견된 건 그제였습니다. <br><br>베트남 호치민을 출발해 인천항을 거쳐 공장에 운송된 목재에서 개미가 쏟아져 나온 겁니다.<br> <br>신고를 받은 환경부와 농림부는 여왕개미 3마리와 일개미 약 3600마리, 번데기 약 620마리 등을 약품으로 살처리 했습니다.<br> <br>도망친 개미를 잡으려고 덫 75개와 살충제를 뿌린 수건도 공장 주변에 배치했습니다. <br> <br>이동시 좌우로 움직이는 습성 때문에 '노랑 미친개미'로도 불리는 긴다리 비틀개미는 열대지방에 주로 사는데, 번식력이 높아 생태계를 파괴하는 종으로 유명합니다. <br> <br>인도양의 크리스마스섬에선 고유종인 붉은 참게가 이 개미의 공격을 받아 30% 넘게 개체수가 줄었고, 지난 2017년 이 섬에서 토종 박쥐가 멸종된 것도 <br> <br>이 개미가 박쥐 먹이를 먹어치웠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[김동언 / 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연구원] <br>"전자제품 같은데도 피해를 많이 입힌다고 돼 있어요. 씹어서 (전선을) 먹든지 (부식성 있는) 개미산이 나오니까 전자제품에 고장이 많이 난다." <br> <br>방역 당국은 놓친 개미가 없는 지 공장 안팎을 계속 감시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정다은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