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선원 강제추방과 관련해 유엔도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추방 과정에서 인권 침해가 없었는지 고문 국가인 북한으로 보낸 것이 국제법 위반은 아닌지 들여다 보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한 국내 인권단체는 북한 선원 강제 추방 나흘 뒤인 지난 11일 인권 침해 등이 없었는지 조사해 달라며 유엔 인권위원회에 긴급청원을 했습니다. <br> <br>사형·고문·북한 담당 3명의 특별보고관에게 각각 청원 메일을 보냈는데, 이튿날 킨타나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조사에 나섰다는 답을 보내왔습니다. <br> <br>[남바다 / 성통만사 사무국장] <br>"다음 스텝을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. 특별 보고관께서 이 문제에 대해서 알고 계신 것으로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." <br><br>유엔인권최고대표 서울사무소는 "북한 주민 강제 추방과 관련해 한국 정부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"고 답했습니다. <br><br>유엔은 북한 주민에게 안대를 씌우고, 처형과 고문을 자행하는 북한으로 추방한 것이 인권침해나 국제법 위반이 아닌지를 따져볼 예정입니다.<br> <br>강제조사권이 없어 조사에는 한계가 있지만 인권보고서로 국제사회에 공개되는 만큼 유엔 조사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귀순 의사가 없다고 정부가 자체 판단한 것도 계속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연철 / 통일부 장관(지난 8일)] <br>"여러 가지 상반된 진술들이 있었지만 죽더라도 돌아가겠다는 진술도 분명히 했습니다. 귀순 의사가 없는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." <br> <br>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조차 통일부의 강제 추방 근거법 적용의 잘못을 지적했고, 자유한국당은 강제추방의 문제점을 따질 <br>당내 태스크포스(TF)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은입니다. <br> <br>story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