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A 시작합니다.<br><br>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 종료 시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지소미아를 연장하라고 요구하고 있죠.<br><br>문재인 대통령은 일본부터 태도를 바꿔야 한다며 사실상 거부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 야당과 보수단체는 "한미동맹이 흔들린다"며 강하게 반발했는데요. <br> <br>미국 역시 우려를 표하며 후폭풍이 거셉니다. <br> <br>지소미아를 둘러싼 한국과 미국, 일본의 속내를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. <br><br>먼저 청와대로 가보겠습니다. 강지혜 기자! <br> <br>[질문1]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의 지소미아 연장 요구를 거부했습니다. 그 결정적 이유는 뭘까요? <br> <br>[리포트]<br>한마디로 얘기하면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한 게 일본의 보복성 수출 규제 때문인데, 아베 일본 총리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본은 그대로인데 우리가 결정을 번복하면 지소미아 종료 결정이 신중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는 셈이 된다는 게 청와대 설명입니다. <br> <br>여론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방침에 동의하는 여론이 반대 여론보다 2배 가까이 높았습니다.<br> <br>특히 문 대통령 지지층에선 지소미아 종료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80%를 넘었습니다.<br> <br>명분없이 지소미아 종료 방침을 철회하면 지지층 이탈이 예상되는 만큼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실제 종료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어 물밑 협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내일 태국에서 열리는 한일,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에서도 지소미아 문제가 논의될 전망입니다. <br><br>[질문2]야당은 강하게 비판했네요?<br> <br>네,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청와대의 지소미아 연장 거부에 대해 "한미동맹을 흔드는 행위"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[김성원 / 자유한국당 대변인] <br>"지소미아 파기와 한미일 안보 공조 파괴로 득을 보는 곳은 대한민국이 아닌 북한과 중국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랍니다." <br> <br>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"지소미아 파기는 반미 선언"이라며 "치명적인 국익 손상이 뻔한데 계속 밀어붙이면 영원히 조롱받을 것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반면 더불어민주당은 "지소미아의 열쇠는 일본 정부 주머니에 있다"며 청와대 방침을 거들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kj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