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지소미아 연장을 거부한데 대해 고심하는 모습입니다. <br> <br>일단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다만 지난 7월 한국에 핵심 소재 수출 규제를 하고 처음으로 액체 불화수소 수출을 허가했는데요. <br> <br>어떤 계산이 깔려있는 걸까요. <br> <br>이어서 이남희 기자입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 134일 만인 어제, 반도체용 액체 불화수소 수출을 처음으로 허가했습니다. <br> <br>일본 화학소재 기업인 스텔라케미파의 한국 수출 허가 요청을 받아들인 겁니다. <br><br>이로써 포토레지스트, 투명 폴리이미드에 이어 액체 불화수소까지 3개 규제 품목 모두 한국 수출길이 제한적으로나마 열렸습니다. <br> <br>이번 허가는 오는 19일 열리는 세계무역기구, WTO 2차 한일 양자협의를 의식한 결정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수출 심사과정이 90일로 규정돼 있는데 허가를 무작정 미루면 '부당한 통제'로 보일 수 있어 불리하다는 겁니다. <br> <br>[강인수 /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일본이 WTO에서 수출 규제로 지적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그런 조치를 취한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불화수소 국산화 작업에 성과를 거둔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불화수소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 70%인 스텔라케미파는 수출 규제 이후 영업 이익이 10분의 1 토막 났습니다. <br> <br>[허창수 / 전경련 회장 (어제)] <br>"(일본 기업들이 수출규제로) 힘들다고 이야기 합니다." <br> <br>일각에선 일본 정부가 지소미아 문제까지 염두에 두고 움직인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남희입니다. <br><br>iru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