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정부의 공식 인가를 받아, 어제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노조 활동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'50년 무노조 경영'이라는 삼성의 일그러진 신화가 깨진 셈인데, 여전히 저조한 노조 참여율, 경영진의 협조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눈에 흙이 들어와도 노조는 안된다." <br /> <br />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의 말은 헌법이 보장한 노동 3권마저 무력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1977년 제일제당 노조 와해를 시작으로, 감시와 미행, 인사 불이익 등 숱한 인권 침해가 '글로벌 기업' 삼성 안에서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노총 산하 삼성전자 노조의 출범과 함께, 이제 삼성의 '50년 무노조 경영'은 막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삼성전자에서 노조 3곳이 설립 인가를 받았지만, 가입자가 10여 명에 불과하고 활동도 거의 없어 유명무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새로 설립된 네 번째 노조는 현재 4백여 명 규모로, 조합원 백만 명의 상급단체 지원을 받는 사실상의 첫 '삼성 노조'입니다. <br /> <br />[김주영 / 한국노총 위원장 : 한국 사회에 무노조 경영이나 반노조 경영이 설 자리가 없다는 걸 의미하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 문화의 정착이 시작되는 전환점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. <br /> <br />10만 명 규모의 삼성전자 임직원 가운데, 4백 명에 불과한 조합원을 만 명까지 늘리는 게 1차 목표입니다. <br /> <br />50년 동안 정상적 노조 활동이 없었던 사업장에서, 회사의 일방적 지시가 아닌 소통하는 조직 문화를 만드는 것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. <br /> <br />[진윤석 / 삼성전자 노조 위원장 : 우리 노동자의 권익은 우리 스스로 노력하고 쟁취하는 것이지, 결코 회사가 시혜를 베풀 듯 챙겨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제는 깨달아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다른 사업장과 연대해, 노동계 현안에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도 삼성전자 노조의 외연 확대에 핵심 과제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아직 삼성전자 측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지만, 기존의 노사 관계와 경영 전략에 변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고한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11623580026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