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시행을 불과 한 달 가량 앞두고 나온 이번 정부 발표에 대해 중소기업은 땜질식 미봉책이라고 반발했고, <br><br>노동계는 주 52시간 제도를 포기한 거라며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가 엇갈리는 현장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인조대리석을 생산하는 대전의 제조업체. <br> <br>내년 1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계도기간을 두겠다고 발표했지만 한숨만 나옵니다. <br> <br>시행시기를 뒤로 미뤘을 뿐 근본적 해법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[박상원 / 중소기업 임원] <br>"52시간을 하게 된다면 전체적으로 인원이 한 1.5배 정도 늘 가능성이 있고 특히 중소기업은 임금문제가 심각한데" <br> <br>특별연장근로 범위를 확대한 것도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박상원 / 중소기업 임원] <br>"하루나 이틀 아니면 한 달이나 두 달 적용되는 것이지 1년 내내 적용할 수는 사실상 없는 거거든요." <br> <br>경제단체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. <br><br>한국경영자총협회는 "중소기업이 법을 어겨도 형벌만 미루겠다는 것"이라고 지적했고, 중소기업중앙회도 "1년 이상 시행유예를 요청했지만, 계도기간을 부여하는데 그쳤다"며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주 52시간 근무로 '워라밸'을 기대했던 중소기업 근로자들도 실망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[장예상 / 30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] <br>"근로자 입장에서 복지, 근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수 있을 거 같아서 만족스럽지 못한…." <br> <br>노동계는 52시간 제도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거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은호 / 한국노총 대변인] <br>"(시행) 한 달 남겨놓고 정부가 계도기간을 얘기하는 것은 정부 스스로 그 기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거라 생각합니다. <br> <br>민노총도 "최저임금 1만 원에 이어 노동시간 단축마저 포기하는 문재인 정부의 노동 절망 정책"이라며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 <br>영삳취재: 박영래 <br>영상편집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