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명이 숨지고 11명이 실종된 제주 대성호 화재 사고의 실종자를 찾기 위해 이틀째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안타깝게도 실종자를 추가로 발견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에 기상 상황이 좋아지면 배 꼬리 부분을 인양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하겠습니다. 박종혁 기자! <br /> <br />오늘도 새벽부터 수색이 진행되고 있다고 하는데 현장에서 들려오는 소식이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타깝게도 아직 실종자를 찾았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관군경 합동구조대는 함정 등 31척을 동원해 사고 해역을 수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헬기 등 항공기도 9대를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구조대는 해수 유동 예측 시스템을 가동해 수색에 이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구조대는 사고 지점을 기준으로 남북과 동서 방향 각각 55km 해역을 수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색 해역을 9개 구역으로 나눠서 함정과 항공기를 투입해 수색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초속 10에서 12m의 바람이 불고 있고 파고는 2m 내외입니다. <br /> <br />오후부터는 사고 해역의 기상 상황이 좋아질 전망인데요. <br /> <br />대성호는 어제 사고 이후 두 동강 나서 배 앞부분은 바다에 가라앉고 꼬리 부분은 표류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오후에는 표류하고 있는 배 꼬리 부분을 인양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제주대학교 소속 3천 톤급 해양 실습선인 아라호가 오전 9시 반에 서귀포 항을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가라앉은 배 앞부분도 수색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음파 탐지기와 어군 탐지기를 이용해 수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인 잠수정을 투입해 수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 대성호 배 앞부분은 수심 85m 지점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지점까지 수색하려면 무인잠수정을 이용한 수색이 필요한데, 수심 85m는 해군 구난함인 청해진함과 통영함이 가능한데, 독도 헬기 추락 사고에 투입되어 있어서 제주 해역 수색에 지원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밤에 밤샘 수색 작업이 진행되었는데요. <br /> <br />민관군경 합동 구조팀은 밤사이 함정 등 18척과 항공기 5대를 동원해 수색 작업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야간 조명탄 160여 발을 터트리면서 수색 작업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선원 1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 소식을 듣고 선원 가족들이 어제 이곳 제주로 와 대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가족분들은 모두 14명인데요. <br /> <br />뜬눈으로 밤을 새운 가족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112013321433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