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일요일부터 격렬하게 벌어졌던 홍콩 시위사태는 사실상 해결 국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홍콩 인권법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대치는 지금부터 본격화하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위대 대부분이 체포되거나 탈출한 홍콩이공대는 폐허만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안전모로 눌러놓은 SOS라는 글자가 시위대의 다급함을 말해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홍콩 이공대 주변에서만 천 명을 체포했고 이 중 300명 정도는 중·고등학생들입니다. <br /> <br />[호이응싱 / 홍콩 야우침 경찰서장 : 이공대에 남은 학생 가운데도 어린 청소년들이 있다는 것을 경찰도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시위대는 경찰의 강경 진압과 고사작전에 걸려 봉쇄 사흘 만에 동력을 상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요일 구의원 선거가 예정대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폭력 시위는 더 어렵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태는 이처럼 가라앉고 있지만 홍콩은 미국의 홍콩 인권법으로 제재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황딩광 / 홍콩 친중파 의원 : 미국이 제출한 이 법안 대해 큰 분노를 표시하고 강력하게 반대합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이 아직 남아 있기는 하지만 거부권 행사가 쉽지는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상하 양원이 거의 만장일치로 통과시켰고 대선을 앞두고 유권자의 눈치도 살펴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낸시 펠로시 / 美 하원의장 :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중국 인권문제에 대해 침묵한다면, 미국은 전 세계 모든 인권문제 대한 모든 도덕적인 권위를 상실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더구나 미국 의회가 중국 견제용 법안을 150개나 준비하고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 문제를 계기로 미국과 중국의 마찰이 고조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로 예상되던 1차 무역합의 타결 시점도 다시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12121483833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