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다보니 독립을 많이 하는 나이인 30대들에게 청약 당첨의 문턱은 높기만 합니다. <br> <br>서울 아파트 값도 21주 연속 치솟으면서 내 집 마련은 너무 어렵죠. <br> <br>30대들의 고민을 들어봤습니다. <br> <br>이남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3년 전 결혼한 서른한 살 최지민 씨는 서울 20평 대 빌라에서 1억원 대 전세로 신혼 살림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[ 최지민 / 서울 강서구 ] <br>"(친구 아파트가) 6개월 만에 1억이 올랐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 들었는데 저희 전세금이거든요. 너무 부러운데 저와 전혀 다른 세상 이야기인거 같아서…" <br> <br>아이 한 명을 키우며 신혼부부 특별공급 청약에 도전하고 있지만 기대는 접었습니다. <br> <br>[최지민 / 서울 강서구 ] <br>"애가 둘 정도는 돼야 그래서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노려볼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어서. 사실 주변에 당첨된 사람을 못 봤거든요." <br> <br>이렇듯 30대가 서울에서 혼자 힘으로 내 집을 장만하는 건 하늘의 별따기. <br> <br>서울에서 집값의 40%까지만 빌릴 수 있는 대출 규제도 큰 걸림돌입니다. <br> <br>반면, 부모 도움을 받는 30대 금수저는 부동산 시장의 큰손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><br>최근 1년 사이 서울 서초구의 평당 1억 원 아파트를 가장 많이 구매한 것도 30대였습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젊은 층도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(젊은 층은) 대출 규제를 안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. 50~70% 탄력적으로 대출해줄 필요가 있어요." <br> <br>청년 실수요자를 위한 공공주택 공급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남희입니다. <br><br>iru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