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충고도 빼놓치 않았는데요. <br> <br>안보 문제는 다른 영역의 한일 갈등과는 분리해야 한다, 좀 더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한국 일본 서로가 싸우는 건 알아서 해라 하지만 안보 문제를 건든다면 우리 미국을 건드리는 거다 정도로 풀이할 수 있을 겁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8월 우리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 직후 강한 유감을 표명했던 미 행정부. <br> 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(지난 8월)] <br>"우리는 한국이 정보공유 합의에 대해 내린 결정을 보게 돼 실망했습니다." <br><br>이번에는 '조건부 연기' 결정과 관련해 환영 논평을 내고 한미일 3자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우리 정부의 조건부 결정에도 불구하고 미 국무부는 '갱신 결정'이라는 표현을 쓰며 온도 차이를 보였습니다. <br><br>또한 "한일관계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국방 및 안보 사안은 분리돼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한일 갈등이 안보 분야로 확대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간접 경고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[제임스 리시 / 미국 상원 외교위원장 (지난 20일)] <br>"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주한 미군에 대한 위협이고 한미 동맹 훼손 조치입니다." <br><br>앞서 미국은 국무부와 국방부, 의회가 모두 나서 우리 정부에 지소미아 종료는 안 된다고 전방위적 설득과 압박에 나섰습니다. <br><br>미 언론은 이번 결정에 대해 한일 갈등이 종료된 것이 아니라 조건부로 시간을 벌고 있는 것이라 분석했습니다. <br><br>"지소미아 문제서 촉발된 한미 균열 우려는 여전합니다. <br> <br>연말 시한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 미군 카드를 언제든 건드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."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