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틀 전인 23일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9주기였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오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해안포 사격을 지시했다고 북한이 보도했는데, 그 위치가 연평도 근처 서해 접경 지역입니다. <br> <br>북한의 도발에 많이 참던 우리 국방부도 남북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즉각 강한 유감을 표했습니다. <br> <br>최선 기잡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황해남도 옹진군 섬에 있는 부대를 찾았습니다. <br> <br>소청도에서 불과 3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창린도로 북한에는 서해 최남단 부대입니다.<br> <br>부산 아세안 정상회담 참석을 거부한 대신 최전방 전투태세 점검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은 해안포 실사격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최고 영도자 동지께서는 전투직일근무를 수행하고 있는 해안포중대 2포에 목표를 정해주시며 한번 사격을 해보라고 지시하셨습니다." <br><br>76mm 또는 122mm 해안포로 보이는데 지난해 서해완충수역에서 해상 사격을 금지한 남북 군사합의를 대놓고 위반한 겁니다.<br> <br>북한 보도 4시간 만에 국방부는 강한 유감을 표했습니다. <br> <br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] <br>"서해 완충구역 일대에서의 해안포 사격훈련 관련 사항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. 9.19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입니다." <br> <br>군사합의 체결 이후 우리 정부가 위반이라고 적시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특히 연평도 포격 9주기에 맞춰 김 위원장이 남한을 향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한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] <br>"군사합의라는 게 지금 남아있는 유일한 거죠. '그 부분까지도 깰 수 있다' 이렇게 엄포를 놓고 있는 거죠." <br> <br>우리 군의 대응은 항의 전통문을 보낼지 말지 검토하는 게 전부였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