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죽음 부르는 악플’…들끓는 ‘댓글 폐지’ 여론

2019-11-25 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구하라 씨는 생전 악성 댓글로 인한 고통을 자주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댓글을 아예 폐지하자는 여론을 비롯해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번에도 거셉니다. <br> <br>박선영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5월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던 구하라 씨. <br> <br>자신의 SNS에 "아픈 마음 서로 감싸주는 그런 예쁜 마음은 어디에 있냐"며 악플러들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일부 누리꾼은 구 씨의 사망기사에도 악성 댓글을 다는 걸 멈추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피해자를 극단으로 내모는 인터넷 댓글 폐지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최원아 / 서울 광진구] <br>"개인의 생각이나 감정에 호소하는 차원에서 끝날 게 아니라 포털에서 댓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처럼 제도적인 장치가 있어야.” <br> <br>[윤태성 / 서울 성북구] <br>"남을 헐뜯으면서 자기들 재미를 가지고 가려고 하는 게 아닌가." <br> <br>카카오는 지난달 설리의 사망 사건을 계기로 연예 뉴스의 댓글 기능을 폐지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뉴스 댓글이 하루 평균 30만 개씩 올라오는 1위 포털업체 네이버는 댓글 폐지에 가담할 생각이 없습니다. <br> <br>네이버 관계자는 "연예 뉴스의 댓글기능을 폐지해도 사회 기사로 분류되면 얼마든지 댓글을 달 수 있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댓글 폐지가 악플 문제의 처방이 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상습적인 차별이나 혐오 댓글을 처벌할 근거를 만들라는 요구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동귀 /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] <br>"상습범죄라고 하는 경우는 엄격한 법적 처벌이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고요. 필요하다면 그런 사람들 신상공개하는 방안이라든지.” <br> <br>댓글 작성자의 전체 아이디와 접속주소 IP를 공개하는 인터넷 준실명제 도입 논의도 활발해질 전망입니다. <br> <br>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tebah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영수 이철 <br>영상편집: 정다은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