패키지 해외여행 상품에 포함된 각종 수상 레저 시설에 구급함이나 구명조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사전 안전 교육을 하는 곳도 거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헝가리 유람선 참사 같은 사고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박소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인 관광객 25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참사! <br /> <br />당시 유람선에 탔던 관광객들은 구명조끼를 보지 못했고, 안전 교육도 없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덕승 / 헝가리 사고 유람선 탑승객 : 특별히 구명조끼는 착용을 안 한 것으로 기억하고요. 함께 탔던 사람도 마찬가지였고, 안전에 대한 교육도 못 받은 것으로 기억합니다.] <br /> <br />사고 이후에도 해외여행객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여행객의 65%는 항공과 숙박, 레저 등이 포함된 각종 패키지 상품을 이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이 동유럽과 동남아 패키지 상품 9개를 무작위로 골라 점검한 결과, 여전히 안전 관리가 엉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수상 수중 레저 시설이 37곳에 있었는데, 구급함이 없는 곳이 76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30%는 어린이용 구명조끼를 비치해두지 않았고, 바나나보트 시설 4곳에는 안전모가 아예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관광객이 무면허인 채 제트보트를 타도록 두는 곳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패러세일링이나 제트스키, 바나나보트는 사고 발생이 위험한 시설인데도 사전 안전 교육을 하는 곳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법 / 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: 레저체험 상품 대부분이 현지 업체를 통해 제공되고 있어서 이용 전 안전교육이 필요한데 이런 부분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51% 정도였고요. 외국어로 전달되고 있는 교육이 33%….] <br /> <br />관광지로 이동할 때 단체로 버스나 승합차를 타는데 절반 이상은 안전벨트를 매라는 안내가 없었고, 차에 소화기가 없는 경우도 59%나 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은 여행사 협회에 안전수칙 안내서를 제공하고, 한국어를 하는 가이드가 안전교육을 반드시 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강제 사항이 아니어서 우리나라가 아닌 해외 레저업체들의 운영을 얼마나 개선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소정[soj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12821043930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