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] <br />먼저 세계 경제 둔화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국별로는 상이한 흐름을 보였는데 미국은 소비의 꾸준한 증가로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유로 지역과 일본은 수출 부진으로 성장세가 미약하고 중국은 3/4분기 성장률이 6.0%로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협상이 진전됨에 따라 주요국의 주가와 장기 시장 금리가 상승하는 등 위험 회피 성향이 완화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실물경제도 성장세 둔화가 지속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수출과 투자의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소비 증가세도 약화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년의 농축수산물 기저효과로 9월 중 -0.4%를 기록하였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10월 중에는 마이너스에서 벗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0%대 중반에 머물렀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와 이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에 영향받아 장기 시장 금리와 주가가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9월 중 추석 상여금 유입 등 계절적 요인으로 3조 원대로 축소되었던 가계 대출 증가 규모는 10월 들어 8.5조 원으로 다시 확대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 가격은 지방에서는 하락세를 멈췄으며 서울 및 수도권에서는 오름세가 확대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 경제 전망 이후의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를 고려하여 향후 국내 경제를 다시 한 번 짚어본 결과, 금년 중 경제성장률은 2. 0%,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. 4%로 전망되었고 내년에는 성장률이 2. 3%, 소비자 물가상승률 1.0%로 전망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금년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7월에 비해 0. 2%포인트 낮췄는데 이는 당초 예상보다 수출과 투자의 회복이 지연되고 소비증가세도 둔화된 점을 반영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내년 성장률은 세계교역 부진 완화와 반도체 경기 회복 등으로 금년보다 소폭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수요 압력이 미약하고 국제 유가와 농축산물 가격이 예상보다 크게 하락한 점을 반영하여 0. 3%포인트 낮추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앞서 언급한 공급 측 하방 압력이 완화되면서 금년보다 높은 1%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경제전망의 자세한 내용은 오늘 오후에 조사국장이 별도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금융통화위원회는 성장과 물가전망치가 하향 조정되었지만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19112911230128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