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어제 쏜 방사포 현장에서 이처럼 대만족을 표했습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의 지난해 외부행보는 경제 분야가 가장 많았는데 올해는 절반이 군사 분야였습니다. <br><br>남북 군사 대치 수준이 지난해 평창 올림픽 이전으로 돌아갔다는 얘기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최선 기잡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초대형 방사포가 불을 뿜습니다. <br> <br>연기 꼬리가 사라지기도 전에 두 번째 탄이 날아오릅니다. <br><br>이전에는 한 발 쏘고 다음 발사 때까지 19분이 걸렸지만 이번에는 30초로 확 줄었습니다. <br> <br>차량 1대에 발사관 4개가 있는데 탄도미사일급 속도와 위력을 가진 탄을 2분 안에 거의 동시다발로 퍼부을 수 있게 된 겁니다.<br><br>김정은 위원장의 만족도도 크게 높아졌습니다. <br><br>[조선중앙TV (지난 8월)] <br>"큰일을 해냈다고 높이 평가하시었습니다." <br> <br>[조선중앙TV (오늘)] <br>"시험 사격 결과에 대하여 대만족을 표시하시었습니다." <br><br>북한의 미사일 발사체 도발은 올 들어 벌써 13번째입니다. <br> <br>핵 무력을 과시하던 2017년과 비슷한 수준입니다.<br> <br>군의 강력 경고도 2년 만에 다시 등장했습니다. <br><br>[전동진 / 당시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 (2017년)] <br>"우리 군과 한미 동맹의 강력한 응징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." <br> <br>[전동진 /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(어제)] <br>"군사적 긴장 고조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." <br> <br>군사적 긴장 상태가 평창 동계올림픽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<br>국정원 역시 김정은 위원장의 공개활동을 보면 올해는 절반이 군사 행보로 경제가 1순위였던 지난해와 확연히 달라졌다고 평가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연말까지 북한의 도발은 다양한 형태로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철 <br>영상편집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