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러스 ’수평 전파’ 시작점부터 봉쇄 <br />야생 멧돼지, 번식기에 하루 100km 이동<br /><br /> <br />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농장이 50일 넘게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야생 멧돼지에서는 바이러스 검출 소식이 끊이지 않지만 확산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아직 '심각 단계'라 안심할 수 없다는 게 당국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류재복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500리 멧돼지 장성'이라 이름 붙은 철책입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 파주에서 강원도 고성까지 200km에 걸쳐, 야생 멧돼지의 남하를 막기 위한 울타리입니다. <br /> <br />멧돼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 검출이 끊이지 않지만 사육돼지 발생이 멈출 수 있었던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달 9일 이후 기르는 돼지에서 확진 판정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 잠복기가 최대 19일임을 고려하면 상당 기간 안정적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주요 발생지인 경기도 파주와 연천에서는 30만 마리가 넘는 돼지가 살처분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수평 전파' 가능성이 시작점부터 철저하게 봉쇄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전략은 멧돼지 폐사체 발견을 위한 대대적 수색 작업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수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폐사체로부터 오염원 확산이 심각합니다. 오염원 확산을 막고, 오염 경로를 파악하거나, 어떻게 방어막을 칠 것인지 등, 분명한 계획을 세울 수 있었기에…] <br /> <br />하지만 당국은 '심각 단계' 조정을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멧돼지를 통한 감염 위험이 여전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야생 멧돼지는 번식기인 겨울철, 짝을 찾아 하루 100km 이상 이동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살처분 농가가 원하는 '돼지 재입식'에도 신중한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수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전문가를 중심으로 지역과 농장의 위험을 평가하겠습니다. 위험 지역은 강화된 방역시설기준을 보완한 뒤 재입식이 이루어질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피해 농가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류재복[jaebogy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13001033248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