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숨진 수사관은 왜 극단적인 선택을 해야만 했을까요. <br> <br>고인은 말이 없지만, 고인의 죽음을 두고 주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청와대는 검찰 수사에 책임을 돌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제 동료 특감반원의 진술을 공개한데 이어, 오늘은 검찰에 공개 경고를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먼저 김윤정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는 검찰이 사실과 다른 의혹들을 흘리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[고민정 / 청와대 대변인] <br>"검찰은 12월 1일부터 피의사실과 수사상황 공개를 금지하는 형사사건 공개 금지 규정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을 명심해주시기를 바랍니다." <br> <br>A수사관 유서에 없는 내용이 사실인양 돌아다니고, 관련 없는 여권 인사들이 의혹에 연루된 것처럼 보도되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특히 청와대는 검찰이 A수사관의 휴대전화를 서초경찰서 압수수색을 통해 가져간 것에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"검찰의 휴대전화 압수수색과 관련해 전례없는 굉장히 이례적 사안이라고 보도한 것을 봤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A 수사관이 검찰 조사 후 동료에게 한 발언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며 검찰의 강압·별건 수사가 있었음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이광철 / 대통령 민정비서관] <br>"저는 고인이 어떤 이유에서 이런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들이 낱낱이 밝혀지고 고인의 명예가 회복되기를 간절히 바라겠습니다. " <br> <br>검찰은 반박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"별건 수사로 A 수사관을 압박한 사실이 전혀 없고, 적법절차에 따라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2시간 반 동안 A수사관 빈소를 지켰던 윤석열 검찰총장은 이번 주 예정됐던 외부 식사일정을 모두 취소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와 검찰은 조국 정국에 이어 또 다시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을 시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