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영구 폐쇄”라더니 재가동된 동창리…말 아낀 청와대

2019-12-08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북한이 중대한 시험을 감행한 날짜 2019년 12월 7일 바로 이 날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통화를 했죠. <br><br>동창리 움직임을 논의했을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<br>영구 폐쇄한다던 동창리를 재가동했다, 북한이 약속을 깬 셈인데 청와대, 군 모두 이번에도 공식대응을 자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동창리 발사장은 겉으로는 인공위성 발사체 시험장이지만, 북한이 ICBM 기술력을 과시하는 곳입니다. <br><br>2012년 ICBM급으로 평가되는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했고, 2017년엔 ICBM급 화성 14형 등에 사용된 엔진의 연소 시험을 한 곳입니다. <br> <br>따라서 동창리 발사장 영구 폐쇄는 지난해 6월 북미정상회담과 9월 남북정상회담의 대표적 성과로 꼽혀왔습니다. <br> <br>[평양공동선언(지난해 9월)] <br>"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영구적으로 폐기할 것을 확약했습니다. " <br><br>청와대도 동창리 발사장이 "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"며 북한이 폐쇄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 <br> <br>[정의용 / 대통령 국가안보실장 (지난달)] <br>"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이 완전히 폐기가 되면 ICBM 발사 능력은 없습니다.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." <br> <br>하지만 북한이 오늘 동창리 발사장에서 중대한 시험을 성공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면서, 한·미의 비핵화 성과를 깨는 행보를 보인 셈입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<br><br>북한 국방과학원 대변인 명의의 발표라 청와대 차원의 대응이 적절치 않다며 국가안전보장회의도 소집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어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문 대통령에게 통화를 요청한 것도 동창리 움직임 등을 사전에 공유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