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희상 국회의장이 대화를 통해 풀라며 여야에 준 협상시간 3일. 바로 오늘까집니다. <br> <br>국민들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졌는데요. <br><br>여야 3당 간의 대화는 물론 한국당을 제외한 4+1 협의체 논의도 무산되면서 내일 본회의 자체가 열릴지 말지도 안갯속입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민주당은 오늘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를 열고 4+1 협의체 협상에서 선거법 조정을 더이상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인영 원내대표는 오전까지만해도 4+1 협의체의 합의문 작성이 대문 앞까지 와있다고 했지만 기류가 바뀐 겁니다. <br> 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"합의에 이르지 못함에 따라 선거법과 관련한 조정안, 협의안은 더이상 추진하지 않겠습니다." <br> <br>특히 합의에 이르려는 적극적인 의지가 있어야 한다, 앞과 뒤의 얘기가 달라선 안된다며 가장 이견이 큰 정의당을 겨냥했습니다. <br> 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"일부 정당은 협의 파트너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나 존중이 없지 않나 생각됩니다. 대기업이 중소기업 후려치기 등의 발언은 매우 유감스럽습니다." <br> <br>4+1 협의체는 민주당이 비례대표 50석 가운데 30석에만 연동률을 적용하는 안을 제시하면서 갈등을 빚어왔습니다. <br> <br>정의당은 민주당을 향해 불쾌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[김종대 / 정의당 수석대변인] <br>"민주당의 거듭되는 개혁 후퇴에 대해 이견을 제기한 것입니다. 이를 '개혁 알박기'라고 표현하는 것은 본말을 전도하는 부적절한 발언입니다." <br> <br>민주당은 협상을 완전히 접은 것은 아니라며 내일도 다시 논의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의당 등의 입장 변화가 없다면 지난 4월 합의한 선거법 원안을 상정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