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는 유재수 전 부시장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도 넘어간 이유가 유재수 본인이 감찰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고, <br> <br>검찰은 그게 직무 유기라고 맞섰습니다. <br> <br>당시 감찰을 중단시킨 혐의를 받는 조국 전 민정수석이 오늘 검찰에 출석했습니다. <br><br>백승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와 검찰은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무마와 김기현 전 울산시장 하명수사 의혹 수사를 두고 이틀 연속 충돌했습니다. <br><br>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어제 "유재수 비리 혐의 중 상당 부분은 청와대에서 감찰 가능했다"는 검찰 발표를 직접 겨냥했습니다. <br><br>"최종 수사결과가 아니"라고 못 박은 뒤, "유재수가 감찰에 응하지 않아 더 이상 감찰할 수 없었다"며 불쾌감을 드러낸 겁니다. <br><br>검찰은 곧바로 "비위가 나왔는데도 감찰을 중단하는 것 자체가 직무유기이자 직권남용"이라고 맞받아쳤습니다. <br> <br>"지난해 울산시장 하명 수사는 사실이 아니"라는 윤 수석의 브리핑 내용도 반박했습니다. <br><br>검찰 관계자는 "청와대가 사건 당사자들의 일방적 주장을 발표한다"며 "비리 제보를 누가했든 이를 가공해 경찰에 내려 보낸 곳이 청와대라면 하명 수사"라고 맞섰습니다. <br><br>청와대의 부당한 검찰 공격을 두고 볼 수만은 없다는 의미입니다. <br> <br>그러자 윤 수석은 오늘 다시 서면 브리핑을 통해 "청와대는 언론 보도에 대해 말했고 검찰 수사를 언급하지 않았는데, 검찰이 나서서 입장을 밝혔다"며 "이상한 일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<br>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"따로 왈가왈부할 것은 아닌 듯하다"며 대응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오늘 유 전 부시장 감찰을 무마한 혐의로 조국 전 대통령 민정수석을 소환해 조사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strip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