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北 새로운 길 가나..."중·러 관계 강화" / YTN

2019-12-17 9 Dailymotion

北, 새로운 길 나설 가능성 커져 <br />중·러 지원 속 경제발전 추진 가능성 주목 <br />군사적 긴장 유지할 듯…"고강도 도발 삼갈 수도"<br /><br /> <br />북한이 미국이 내민 손을 끝내 거부하면서 새로운 길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, 러시아와 더욱 밀착해 나름의 살길을 찾을 것으로 보이는데, 곧 열릴 당 전원회의에서 북미 협상 종료를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가 가기 전 사실상 마지막 대화 기회였던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 정책 특별 대표의 공개적인 만남 제안. <br /> <br />북한이 끝내 응하지 않은 건, 협상이 재개돼도 유리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통일안보센터장 : 비건 대표의 발언에 대화 의지는 담겨 있었지만 북한이 원하는 선제적 제재 완화와 같은 미국의 양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만남을 끝내 거부한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스스로 내건 협상 시한 전 돌파구가 뚫리지 않으면서 북한이 새로운 길에 나설 가능성은 더욱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예고한 대로 곧 당 전원회의를 열어 군사력 증강과 자력 경제발전을 추진하거나, 또는 중국과 러시아의 비공식 지원과 자력 발전을 병행하는 새로운 노선을 천명할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노동신문은 사망 8주기를 맞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주요 업적으로 자위적 국방력 강화와 자력갱생을 꼽으며 기치를 이어가자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는, 대북제재 완화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중국·러시아와 더욱 밀착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부쩍 끌어올린 군사적 긴장은 유지하겠지만, 중국, 러시아를 의식해 고강도 도발은 삼갈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용한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 : 중국과 러시아는 여전히 제재에 대해서 반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, 그런 상황에서 북한이 이른바 레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먼저 넘어버리면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을 계속 지지하긴 어렵습니다.]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정한 연말 시한 이전에 상황 반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미국과 협상 종료를 선언하면서 2년 가까이 이어진 대화 국면도 종료될 수 있다는 우려감도 커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21722160785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