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가 개각 가능성 있다지만…회의론 확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세균 전 국회의장의 총리 지명을 기점으로 후속 개각이 이뤄질지도 관심입니다.<br /><br />다만 '총선용 개각'이 여권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무총리 후보자 발표 뒤 청와대는 "당에서 요구하고 본인이 동의하면 언제든 대통령은 장관들을 내놓을 것"이라며 추가 개각 가능성을 열어놓았습니다.<br /><br />출마 의지가 있는 유은혜, 김현미 장관을 비롯해 차출설이 끊이지 않는 홍남기, 강경화, 정경두, 성윤모 장관 등의 교체가 연말 연초 추가로 이뤄질지가 주목되는 까닭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높아진 검증 문턱으로 마땅한 후임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후속 개각의 최대 난제입니다.<br /><br />더구나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의 강 대 강 대치에 청문회 자체가 제대로 이뤄질지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16일로 다가온 총선 출마자의 공직 사퇴시한을 감안하면 장관 자리를 공석으로 두는 방법도 있지만, 공백이 길어지면 결국 정치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현재로서는 장수 장관 한두명만 바꾸는 소폭 개각, 또는 당분간은 후속 개각이 아예 없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인사청문회 부담이 없는 청와대 비서진 개편의 경우 언제든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의 경우 서울 구로을 출마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고, 선거와 무관하게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쇄신 차원의 안보라인 개편 방안도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