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가장 비싼 단독주택 ‘신세계 이명희’…집 값 277억 원

2019-12-18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1위 신세계, 2위 대림, 3위 아모레 퍼시픽 <br><br>재계 순위가 아니라 재벌가 회장들의 단독주택 공시가격 순위입니다. <br> <br>이런 주택들은 한국감정원이 매년 직접 가격을 공시하고, 이후 다른 주택들의 공시가격 기준이 됩니다. <br> <br>실제 집값에 비해서 이런 표준단독주택들의 내년도 공시가격 상승률은 적다는데, 그 이유 홍유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싼 이명희 신세계 회장 자택입니다 <br><br>"연면적 2861㎡에 달하는 이 주택의 올해 공시가격은 270억 원이었는데요. <br> <br>내년엔 277억 1천만 원으로 오를 예정입니다. 2.6% 상승하는 겁니다." <br> <br>일년 전, 59%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대폭 줄었습니다. <br> <br>다른 초고가 단독주택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><br>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자택의 올해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50% 정도 올랐었는데, 내년엔 각각 1.7%, 2.9%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.<br> <br>초고가 단독주택은, 정부에서 목표로 하는 공시가격 현실화율 55%에 이미 도달한 곳이 많아,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[한국감정원 관계자] <br>"이 부동산들은 이미 현실화율이 높기 때문에 현실화를 높일 게 없다는 거죠. 시세 변동률 정도 상승한 걸로 보시면 됩니다." <br><br>이런 재벌가 단독주택들의 종부세를 추산해보면, 적게는 3000만 원대에서 많게는 7000만 원대까지, 늘어나는 걸로 계산됩니다.<br> <br>초고가 단독주택에 비해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낮았던 4억에서 6억 원대 단독주택은 상승률이 10%를 훌쩍 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국토부와 한국감정원은 오늘부터 내년 1월 7일까지 표준 단독주택 소유자의 의견을 청취한 뒤, 공시가격을 최종 확정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 A 홍유라입니다. <br><br>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정다은

Buy Now on CodeCanyon